왜 그리스 축구 선수들의 이름은 모두 "스"로 끝날까?
오래 전, 우연히 그리스와 다른 나라가 하는 축구 경기를 TV에서 본 적이 있었습니다.
경기 시작 전에 오늘 경기에 출전하는 그리스 축구 선수들의 이름이 쭉 화면에 나열됐습니다.
그런데, 저는 정말 이상한 것을 발견했습니다.
종류: UEFA 유로 2012 그리스 축구 국가대표 선수 명단(2012년 5월31일 기준)
|
특이하게도 모든 선수의 이름은 '스'로 끝이 났습니다. 간혹 성(成)은 '스'로 끝나지 않는 것들도 있었지만, 앞의 이름들은 모두 '스'자로 끝이 났습니다.
경기가 시작되고 해설위원과 중계 아나운서는 바쁘게 말을 주고 받기 시작했습니다.
경기가 정신없이 바쁘게 진행되자 이 똑같이 '스'로 끝나는 이름들을 발음하느라고 아나운서는 좀 벅차보였습니다. 이름을 읽는 연습을 꽤나 한 것 같은데도, 반복되는 외국어 이름에 -스 -스 거리려니 여간 불편해 보이는 게 아니었고, 그 중계가 웃겨서 저와 제 동생은 깔깔대며 한참을 웃었습니다.
그러며 동생과 주고 받은 말은 이랬습니다.
"왜 그리스 이름들은 다 '스'로 끝나는 거야? 축구 선수들을 다 그런 이름으로 뽑은 거야?"
세월이 흘러 축구를 사랑하는 나라 그리스로 이민오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이 의문은 풀기게 되었는데요.
오늘 그 해답을 여러분께 공개하고자 합니다.
(모르는 그리스어가 나온다고 어려워마시고 한번 읽어봐 주세요~)
그리스어는 우리나라에 비교적 알려진 프랑스어처럼 모든 명사는 남성, 여성, 중성 세 가지 종류에 속하게 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면, 그리스어로 고양이라는 단어 γάτα(가따/가타) 는 여성 명사입니다.
개라는 단어 σκύλος(스킬로스)는 남성 명사로 대부분의 남성 명사는 'ς' 인 씨그마로 끝이 납니다.
축구라는 단어 ποδόσφαιρο(보도스페f로)는 중성 명사입니다.
자, 그러면
그리스 남자 축구 선수들의 이름은 모두 남자의 이름일 수 밖에 없고, 남자의 이름들은 명사로서도 남성 명사입니다. 그러니 당연히 '스' 'ς' 인 씨그마로 끝날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물론 Μιχαηλ 미하일처럼 예외적인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 '미하일'이란 이름은 현재 그리스에서는 대개 Μιχαλης 미할리스 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습니다.위의 선수들의 이름 중에도 미할리스가 있는데,미하일이라고 표시하지 않았지요. 또한 아브람이나 다닐처럼 성경속의 수천년 전 이름들은 그리스에서 태생된 이름이 아니므로 '스'로 끝나진 않지만, 그리스에서 간혹 사용되는 이름들입니다. |
그렇다면 그리스어에서는 왜 굳이 '스'로 끝나게 명사를 만들어서 남성명사임을 구분하냐면요.
명사가 남성이냐 여성이냐 중성이냐에 따라,
앞에오는 형용사(예쁜,큰,작은 등), 관사의 형태가 바뀌기 때문입니다.
만약 '명사의 성'을 철자(스펠링)로 구분할 수 없다면?
모든 사물과 이름에 '다른 관사를 붙여' 주어를 만드는 그리스어는 더더욱 어려웠을 것입니다.
만약 제가 남편에겐 절친이지만 제겐 웬수같은 친구인 미할리스 Μιχαλης에 대해 제 3자에게 얘기하려 한다면,
반드시 O Μιχαλης(오 미할리스)가 ~했어, 라고 사용해야합니다.
<딸아이 머리띠로 스타트렉 놀이에 심취한 미할리스,지못미..>
영어와 달리 사람의 이름 앞에도 이처럼 남성의 경우 O[오], 여성의 경우 H[이]라고 관사를 붙여야 합니다.
그래서 한국에서 태어나 몇 년을 자란 딸아이는 그리스에 와서 상당히 빠른 속도로 그리스어를 배웠음에도 불구하고
아빠에 대해 할머니 할아버지와 대화할때, 그리스어인 O μπαμπάς [오 바바스] 라고 하지 않고
O 아빠[오 아빠] 라고 한국말 아빠에 관사 O를 붙여 주어를 시작합니다.
그리스인 시부모님은 딸아이가 이렇게 말하는 걸 이제는 전혀 어색해 하지 않으십니다.^^
마지막으로 딸아이를 통해 그리스인 시부모님께서 알게 되신 한국어 몇가지를 소개하자면요,
배고파.
맛있어.
배불러.
잘 먹겠습니다~~~.
등이 있습니다.
(기초대사량이 높은 제 딸아이는 밥 먹은 후 한 시간을 제외하고는 늘 배가 고픈데, 먹는 걸 그렇게 좋아하는데도 불구하고 뚱뚱하진 않아서 얼마나 감사한지 모릅니다.)
이제 그리스 축구 선수들 이름에 대한 의문이 풀리셨는지요?
아마 교과서에서 보셨던 그리스인들 아리스토텔레스, 피타고라스, 소크라테스, 히포크라테스 등의 이름들이
왜 모두 '스'로 끝났는지에 대한 의문도 해결되셨을 것 같은데요.
다음 기회에 "그리스엔 왜 똑같은 이름이 많은지"에 대해서와
"그리스인들의 축구 국내 리그에 대한 과한 애정" 에 대해서도 소개하겠습니다.
여러분의 소중한 댓글을 기다립니다.
'재미있는 그리스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리스어로 ‘매를 먹었다’라고 표현하다니! (29) | 2013.12.08 |
---|---|
한국어와 그리스어의 합성신조어를 사용하는 그리스인들 (37) | 2013.10.17 |
한국과는 사용 대상이 달라 구박 받은 나의 그리스어 존댓말 (43) | 2013.09.22 |
그리스 와인농장 사장님, 마이 당황하셨어요? (65) | 2013.07.01 |
나를 깜짝 놀라게 만든 한국어와 발음이 똑같은 그리스어들 (71) | 2013.06.10 |
강남스타일이 그리스 새 광고에 필연적으로 쓰인 이유 (60) | 2013.05.10 |
그리스에 있는 '최봉재'라는 간판에 흥분한 딸아이 (42) | 2013.04.30 |
얼굴 빨개지는 한국여자의 그리스어 욕 사용기 (52) | 2013.04.18 |
아무에게나 "내 사랑"이라고 말하는 참 이상한 그리스 사람들 (44) | 2013.03.25 |
왜 그리스 축구 선수들의 이름은 모두 "스"로 끝날까? (27) | 2013.01.15 |
‘그리스어’에도 ‘피 줄이 당긴다’는 표현이 있다니! (13) | 2013.01.06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어쩜 현명한 언어들이군요.
명사를 구별하는게 너무 맞아요.
특히 고양이가 여성명사가 되었다는데에 격하게 동감합니다.
여성의 특징을 고스란히 가진게 고양이 아니겠어요.ㅎㅎㅎ
저도 민트맘님 말씀처럼, 처음 고양이가 여성명사임을 알게 되었을 때, 어쩜. 정말 딱 그렇구나..했었습니다^^
남자 고양이들을 봐도 아주 성격이 "나 남자다"라고 표시나는 고양이들은 소수인 것 같아요~*^^*
블로그를 시작하신 첫 포스팅에 댓글을 쓰고 싶은데 안 되네요/
저만 이런건지, 그럴땐 그림문자가 안 나와요.
앞으로 오며 벌써 잊어버리는지우개 기억력이지만
블로그도 내가 즐거워야 오래할 수 있다는걸 생각합니다.
스트레스 받지 마시고 기록한다는 생각으로 즐거우셨으면 좋겠어요.^^
감사합니다. 민트맘님. *^^*
경험에서 나온 소중한 댓글이네요~*^^*
오~~ 씨그마!! 가 숨겨진 비밀이었군요. 저희 동네에도 그리스 출신 이민자 아저씨가 하시는 꽃집이 있는데 동네 사람들이 최고로 어려워 하는 이름입니다. ㅋㅋㅋ 저도 잘 발음 못하겠는데 '포이도로스' 였던가, '포이돌로스' 였던가 그래요. 꺄야~~ 모르겠어요!! 하지만 스로 끝나는 건 확실해요. ^--^
근데 그리스어는 완전... 외국인은 못 배우게 UN이 지정해놔야 될 언어 같구만요... -.- 그리스어를 하시는 걸로도 모자라 번역도 하시는 올리브나무님께 경의를 표합니다.
아이구..저도 아직 모르는 거 투성이랍니다. 그리고 알아도 빨리 말하다보면 형용사나 관사 사용을 잘 못할 때가 가끔 있어서 창피 안 당하려고 급 수정해서 다시 말하고, 뭐 그런 답니다.
;
위에 쓴 내용에서 명사가 주어니까 관사와 형용사가 저 정도로 양호한 것이구요, 명사가 목적어냐, 소유격으로 사용되었냐, 복수냐, 단수냐, 부를 때냐에 따라, 또 이 경우의 모든 수에 명사의 성에 따라 형용사 관사는 모두 달라지더라구요.
(이 부분에선 그리스인들이 자부심을 좀 가져도 될 것 같아요.
태어나면서 이 언어를 쓰고 배우고 살아가니...)
저는 정말이지, 그렇게 어렵게 여겼던 영어가 이렇게 고마운 언어임을 그리스와서 처음 느꼈었답니다.^^
아.. 남자니까 '스'로 끝나는 거군요? 성을 따로 가진 언어를 외국어로 배울 때는 그걸 외워야 하니까 넘 힘들어요. 고양이는 여잔데 왜 개는 남자냐고요. 논리가 엄써~~~~
참 그리고 저에게 마케팅같은 거 했냐고 물으셨죠? 저 교사였어요. ㅎㅎ
그러게요. 전혀 엉뚱한 단어가 여성명사 일때도 있고, 남성명사일때도 있더라구요. 고등학교 때 저희 학교에서 프랑스어를 제 2외국어로 했었는데요, 물론 지금은 거의 봉주르랑 프랑스어 선생님의 발음밖에는 기억이 안나지만요, 프랑스어 보다 더 어려운 언어도 있더라구요.헐. 도대체 아랍어 같은 건 어떨까 싶어요.
근데, 교사라는 직업이 역량님의 이미지랑 어쩜 딱일까요.
가르칠 거 다 가르치시면서도, 재미있는 선생님이셨을 것 같아요.^^
저도 제2외국어로 프랑스어 배웠어요.ㅎㅎ 기억나는 건 거의 없지만 선생님이 예뻐서 좋아했던 과목이었는데..ㅎ
참, 생각났는데.. 저 학력고사볼 때 (엉엉..나이 짐작.. 수능세대가 아니여욤) 제2외국어 시험시간에 1번도 모르겠고, 아!그럼 2번부터 풀자하고 봤는데 2번도 모르겠고.. 당황해서 눈물이 쏙 나왔거든요. 근데 다시 정신 챙기고 보니까 스페인어를 풀고 있더라구요..ㅋ 하마트면 대학 못갈 뻔 했답니다. 벌써 20년 전인가 싶네요.
어머나! 큰일날 뻔 하셨네요. 그래도 빨리 눈치채셔서 다행이에요~!
역량님 나이는 정말 제 짐작과 딱 맞아 떨어지는 것 같아요. 아마 학력고사 마지막 세대 2년 범주안에 들어가시겠구나, 그냥 그렇게 짐작했었어요.^^ 프랑스어, 선택하신 거셨지요? 대개 한 학교에 두개 제2외국어 중에 하나 선택하는 경우가 많았던 것 같아서요. 저희 학교는 프랑스어와 스페인어 중에 선택이었었어요.^^
비밀댓글입니다
아아...비밀댓글에 비밀댓글 다는 법을 아직 못찾고 있어요. 초보블로거의 비애에요.ㅠㅠ. 어쩐대요. ㅠㅠ.
이상하게 비밀댓글을 쓸 수 있는데 비밀댓글에 비밀댓글을 다시 리플라이하는 건 안되네요. 다는 법 찾는대로 댓글 달게요. 꼭 할말이 있는뎅...^^
비밀댓글입니다
아, 비밀댓글에 붙여서 비밀댓글을 달면 님한테도 저한테도 같이 보이는 거에요.~~ 근데 방법을 못찾고 있어용*^^*
비밀댓글입니다
으잉? 뜬금없지만, 비밀댓글에 대한 답글도 비밀로 달 수 있어요??!!! 저는 아직도 그 방법을 모르고 있는데요!! 원 댓글만 비밀로 되고 운영자가 다는 답글은 비밀로 안 된던데요. ㅠ_ㅠ 올리브나무님 혹시 아시게 되면 제게도 비.법.전.수. 부탁 드립니다~ (블로그 운영 1년도 넘은 인간이 이제 시작하신 분께 이러고 있어요.. ㅠ_ㅠ)
아..이방인님도 그러셨구나. 저도 이 방법을 찾느라 인터넷을 미친듯이 하루 내 뒤졌었어요. 그런데, 누가 친절하게 방법을 올려주셨더라구요.
그 분 얘기로는
원래 Tistory가 비밀댓글에 답글로 비밀댓글을 다는 기능이 없대요.
(그래서 욕을 한 바가지 하셨더라구요.ㅋㅋㅋ)
그런데, 스마트 폰으로 접속을 하면 댓글에 비밀댓글을 달 수 있대요.
그렇지만 그렇다고 매번 스마트 폰으로 접속할 순 없으므로,
블로그 주소 뒤에 스마트폰 접속 주소인 소문자m을 넣어서 블로그로 들어오면 컴퓨터에서도 스마트폰 접속과 똑같은 화면이 뜨게 되고
그 상태에선 댓글에 비밀댓글을 달 수 있더라구요.
예를들면, 이방인님 블로그에
http://strangerca.tistory.com/m
이렇게 접속하면 바로 스마트폰 접속 화면으로 들어갈 수 있더라구요.
(방금 그렇게 들어가서 이방인님 근황에 대한 댓글 달고 왔어용)
암튼 제가 알려드릴 수 있는 것도 있고 참 감사한 일이네요.*^^*
그런데, 이런 방법으로 했더니 댓글을 처음 다신 분이 제 댓글이 안 보인다고 하시네요.저로서는 시험해볼 방법이 없는데 저희끼리 시험해 봐야할까나요?
앗! 이런 방법이 있었군요! 저도 정말 이해가 안 갔던게... 방문객이 아무리 비밀로 글을 써도, 제가 답글을 달 때 어느 정도 힌트가 드러나게 되잖아요. 그래서 이거 정말 답답한게 왜 관리자는 비밀글을 쓸 수 없게 해놓은 거냐며 울분에 찼었는데 방법이 있었네요. 저 지금 당장 블로그 가서 시험해보려구요. ㅋㅋㅋ
저는 그냥 포기하고 있었는데 방법을 알아내신 올리브나무님 대단하십니다~!! 감사해요~ ^^
잘 배우고 갑니다....
그리스어 배우는거 노트에 적어가고 있는데 벌써 한페이지가 넘어갔네요.ㅋㅋㅋ
안적어놓은깐 모르겠고 다시 찾아보기 번거로워 적기 시작했네요.ㅋㅋㅋ
그리스어 단어에 한국어 발음에 그리스어 표기까지... 읽고 배우기 딱 조아요...ㅋㅋㅋ
앞으로 얼마나 따라갈지..걱정도 되고요.ㅋㅋㅋ
좋은 정보를 알고 갑니다~ 이해하기 쉽게 써주셨네요ㅎㅎ
궁금한 게 있어서 하나 여쭤봐요
그럼 저 이름 뒤에 붙는 건 姓인가요?? 성도 대부분 '스'로 끝나는 거 같은데 그건 남녀 구분없이 쓰는 건지요??
반갑습니다. 안녕하세요님*^^*
이름 뒤에 붙는 건 성이 맞구요~
그런데 어떤 경우는 남녀가족이 성의 어미 변화 없이 같이 쓰는 경우도 있구요. 예를 들면 그리스에서 흔한 성 "빠빠드리트리우"의 경우 여자 가족이라 하더라도 바꾸지 않고 써요.
그런데 만약 위의 "스"로 끝나는 성인 "토로시디스"의 경우 남자는 그래로 쓰는데, 여자 가족의 경우 "토로시디"까지만 써서 여성임을 표현한답니다. 좀 어렵지요?^^
알고보니 재밌어요~ 근데 복잡하네요
;;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해요*^^*
그리스쪽으로 여행을 계획하다가 우연히 찾아들어오게 되었고 글을 너무 맛깔나게 쓰셔서 제 본 목적을 잊어버리고 몇 시간째 읽고 있네요..
그리스 인들의 문화와 사고방식에 대해 어디에서도 배울 수 없는 것들을 들려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재미있게 살아가시는 것 같습니다. 저도 대학시절에 그리스어를 좀 배우고 싶었는데 기회가 되지 않았습니다. 영어도 어려운 제게 그리스어는 정말 어려울 것 같습니다.. 계속해서 행복하게 사시는 모습 들려주셨으면 합니다.
아가피 무가 계속 기억에 남네요..하하
ttse님! 반갑습니다!!
그리스를 여행하려고 하시는군요~
제 글을 그렇게 읽어주시다니 정말 감사해요~
대학 떄 그리스어를 배우려고 하셨다니, 분명 그리스에 오시면 남다르게 친근한 마음이 드실 것 같아요. 저도 스무살 때 그리스어를 공부하려고 책을 샀던 적이 있었거든요. 그 땐 제가 먼 훗 날 그리스에 살게 될 거라는 것을 전혀 모르던 때였는데 말이지요^^
여행 준비 잘 하시길 바랄게요!
그리고 그리스에 오셔서 여행하시다가 아가피 무, 라는 말 많이 듣게 되실 지도 몰라요^^